갑오년 새해가 들어서자 마자 물가가 요동칠 기미를 보이고 있어 가뜩이나 추운겨울 설상가상 얼음 구덩이로 내몰리는 심정이다. 특히나 설 명절을 10여일 앞둔 서민들의 이마에 주름살이 더해가고 있어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최근들어 물가동향을 보면 공공요금과 농축산물 가격이 설 전후로 오를 전망이다. 각종 공공요금이 오르거나 인상 대기 중이고 우유, 빵, 식음료 가격도 마찬가지다.

전기요금이 지난해 11월 평균 5.4% 오른 데 이어 도시가스 요금마저 1일부터 평균 5.8% 인상됐다. LPG 가격도 오른다. 우체국 택배 요금도 500~1500원 인상될 전망이다. 수자원공사도 상수도요금을 올릴 태세다.

여기에다 설 명정을 앞두고 일부 제수용품 가격이 들썩이기 시작했다. 쇠고기를 비롯해 배와 무 가격이 지난 추석 이후 상승세를 보이면서 설 장바구니 물가에 비상이 걸리고 있다.

지난 13일 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지난주 전국 전통시장 14곳과 대형유통업체 25곳을 대상으로 26개 품목의 가격을 조사한 결과, 올해 설 차례상 구입 비용은 전통시장 20만6천원, 대형유통업체 29만5천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설과 비교하면 소폭 낮아졌지만 지난 추석 대비로는 각각 11.6%, 13.5% 상승한 것이다.

공급량이 크게 늘었던 배추, 무나 엔저 영향을 받은 일부 수산물을 제외하고는 지난 추석 이후 가격이 대부분 오름세에 있다.

차례상에 빠질 수 없는 쇠고기는 지난 추석보다 5~8% 안팎으로 올랐고, 나물류도 고사리와 도라지 모두 가격이 상승했다. 대표 제수 과일인 배도 전통시장에서는 8.7%, 대형마트에서는 20% 이상 올랐다. 이미 식품과 음료 우유가격은 지난해 기습적으로 인상했다.

정부와 자치단체는 명절때만 되면 물가잡기에 여념이 없었지만 지금껏 서민들이 체감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은 별로 나오질 않았다. 이외에도 물가인상 요인은 곳곳에 산재해 있다.

철도파업을 겪었던 코레일도 여차 하면 요금을 인상할 태세이며, 지방선거를 앞둔 행정공백 등 악재요인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다. 나라밖에서는 국제 원유가와 세계 곡물가 인상 등 사면초가 형국이다.

물가를 잡지 않는한 서민경제를 살리겠다는 말은 공염불에 그칠 것이다. 최근 태안군도 물가잡기 일환으로 오는 29일까지 물가안정대책을 추진키로 했다.

‘물가대책 종합상황실’을 운영해 물가관리 추진체제 강화와 건전거래 질서 확립, 성수품 가격안정, 검소한 설명절 보내기 운동 등을 적극 전개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군내 대형마트와 전통시장, 수산시장, 개인서비스업소 등을 대상으로 군 합동지도 점검반을 편성해 원산지표시, 가격표시제, 제수용품 등 성수품 가격 부당 인상 행위, 위생 및 업소 관리 실태, 계량 위반 행위 및 섞어 팔기 등을 중점 지도점검하는 한편, 설명절 성수품인 사과, 배, 밤, 돼지고기, 쇠고기 등 20개 품목에 대해 수급 및 가격 중점관리와 목욕료, 이용료, 미용료 등 개인서비스요금 10개 품목을 대상으로 동향 파악 및 안정관리에 중점을 두고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물가관리대책이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서민들은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또 기대해 본다. 있는 사람들이야 물가가 몇%쯤 올라도 걱정거리가 아니지만 빠듯한 생활비로 근근이 살아가는 서민들에게는 생존 그 자체이기에 군의 이번 물가대책이야 말로 전시성이 아닌 실질적인 단속 및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

가능한 수단을 다 동원하지 않으면 뛰는 물가를 잡을 수 없다. 연초에 물가를 잡지 않으면 그로 인한 후유증은 일년내내 정부나 자치단체의 발목을 잡을 것이다.

무조건적인 인상 억제보다는 사전에 인상요인을 제거해 물가를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즐거워야 할 명절에 찬물을 끼얹는 일은 결코 일어나서는 안된다. 서민경제를 보호하는 일에 정부나 지자체는 전심전력을 다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태안미래
저작권자 © 태안미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