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는 잡고 경제를 살리겠다던 MB정부의 공언은 사라지고 집권내내 물가에 서민들이 휘둘리고 있어 안타깝다. 서민들은 단지 장바구니 물가만 잡아줬으면 하는 소박한 마음이었는데 이 정부는 그마저도 허락하지 않았다. 대선을 4개월 앞둔 현재 서민들은 월급 빼고 모든게 다 올랐다고 한탄하고 있다. 그간 억눌려 있던 물가인상 요인이 연말 대선을 앞두고 한꺼번에 터져나오면서 물가대란 조짐이 심상찮기 때문이다.

먹거리에서부터 유류, 교통, 전기, 전세 가격에 이르기까지 서민들 삶과 직결된 생활물가가 줄줄이 올라 서민경제를 위협하고 있다. 특히 홍수와 폭염 등 기상이변으로 국제 곡물가격이 급등할 조짐을 보여 애그플레이션이 물가상승을 더 부채질할 전망이다.

지난달 말 옥수수는 t당 323달러, 콩은 634달러로 사상 최고를 기록했다. 곡물 파동으로 브라질 멕시코 등에서 폭동이 일어난 2008년의 가격대를 넘어선 것이다. 밀은 1년 전에 비해 35% 오른 337달러다. 세계 최대 곡물 생산국인 미국이 50년 만의 가뭄을 겪으면서 일어난 일이다. 농산물 가격이 올라 물가가 뛰는 것을 ‘애그플레이션’이라고 한다. 농업(애그리컬처)과 인플레이션을 합친 말이다.

그동안 안정세를 보이던 국제유가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면서 휘발유 등 국내 석유제품 가격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 국내선 항공 요금이 회사별로 인상이 시작된데 이어 버스와 택시 등 대중교통 요금도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인상될 가능성이 높다. 3년마다 조정되는 택시요금은 기본요금이 2200~2400원에서 최고 3천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 완행버스와 직행버스, 고속버스 요금도 5~10% 정도 뛰게 된다. 전기요금은 이달초 4.9% 인상됐지만 겨울철 전력피크가 오기 전에 또 오를 가능성이 있다.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이상기후가 우리나라라고 예외가 아니다. 폭염과 집중호우로 인한 농작물 침수피해로 채소 값이 급등하면서 시금치와 오이 값은 두 배 넘게 뛰었다. 시금치는 지난달 초 kg 당 4200원에서 8600원으로, 오이는 3500원에서 7300원으로 두배 넘게 뛰었다. 배추와 상추, 애호박도 20~30% 올랐다. 이렇게 먹을 거리 물가가 비상인데 교통비도 인상될 조짐을 보여 더욱 불안을 가중시키고 있다. 교통비만이 아니다. 먹거리에서부터 전기세, 기름값, 전세가격에 이르기까지 서민들의 삶과 직결된 생활물가가 줄줄이 인상대열에 올랐다.

무더위에 지쳐 있다 찾아온 각종 물가의 도미노 인상은 경기불황 속에 서민들의 삶을 팍팍하게 하고 있다. 물가 인상은 당국의 물가관리가 선거 전에는 느슨할 것이라는 틈을 이용하는 측면이 있어 더 찜찜하다.

특히 하늘 무서운 줄 모르고 오르는 밥상 물가가 심각하다. 예년보다 심한 폭염으로 채소와 생선 등 농수산물 값이 크게 뛰었을 뿐 아니라 그동안 정부가 규제하던 가공식품 가격도 대폭 올랐다. 수산물도 해파리 출몰과 적조현상에 따른 조업 차질로 수확량이 줄면서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가공식품은 라면, 과자, 통조림, 음료, 주류 등 사실상 전품목이 상승했다. 한마디로 전방위 물가 대란이 서민가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처럼 물가가 한꺼번에 오르는 것은 결코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다. 이에 따라 공공·교통요금 인상시기를 분산시키는 등 물가관리대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물가는 어느 한 개인의 의지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뛰는 물가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국민 등 모든 경제주체가 합심해 노력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부의 물가안정 의지와 노력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가 담긴 대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더 이상 미뤄서는 안된다. 잘못하면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 된다. 대책은 미리미리 세워야 그 효과가 크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